[이러닝 전문가 성장일지] 2일차 직무 이해 – 운영부터 콘텐츠 제작까지, 진짜로 하는 일은?
목차
이러닝 직무의 핵심 역할인 운영, 교수설계, 콘텐츠 제작의 실제 업무를 정리했습니다.
이러닝 분야 취업을 준비하거나 교육 직무 전환을 고민하신다면 필독!
이러닝 전문가가 실제로 하는 일은 무엇일까?
‘이러닝(e-Learning)’이라는 말은 이제 익숙하지만, 막상 이 분야에서 직접 무슨 일을 하는지 물어보면 대답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이러닝 전문가의 핵심 직무를 직접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이러닝 직무는 왜 세분화되어 있을까?
이러닝 업무는 크게 운영, 교수설계, 콘텐츠 제작 세 가지 축으로 나뉩니다. 각 역할은 독립적으로 존재하기도 하지만, 현업에서는 이 세 가지를 유기적으로 융합해 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이러닝 운영: 시스템과 사람을 잇는 관리자
운영 담당자는 보통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를 관리하며 수강생의 학습 상태를 점검하고, 문의를 응대하며, 외부 콘텐츠사나 강사와 소통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교육 과정 등록 및 운영 스케줄 관리
- 수강자 데이터 분석 (수료율, 이수율 등)
- 학습자 문의 대응 및 공지사항 운영
- 기업 고객 대상 맞춤형 교육 제안
운영자는 플랫폼과 학습자를 이어주는 허브 역할을 하며, 문제 발생 시 가장 먼저 대응하는 프론트 라인입니다.
2. 교수설계(ID): 콘텐츠의 설계자
‘Instructional Designer’라고도 부르며,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 흐름을 설계하는 역할입니다. 이들이 중요한 이유는, 잘 짜여진 설계가 교육 효과를 좌우하기 때문입니다.
- 교육 대상자 분석 및 요구조사
- 커리큘럼/모듈/차시 구성
- 학습목표 설정 및 평가 설계
- 스토리보드 기획 (영상 콘텐츠용 대본 설계 포함)
교수설계자는 교육의 설계자이자 시나리오 작가에 가깝습니다. 교육의 몰입도를 좌우하는 핵심 포지션입니다.
3. 콘텐츠 제작: 실제 콘텐츠를 만드는 사람들
여기서는 영상 편집, 슬라이드 디자인, 자막 작업, 마이크로러닝 클립 등 시각적/청각적 요소를 실제로 제작합니다. 에디터, 디자이너, 영상 PD의 역할이 여기 포함되기도 합니다.
- 강의 촬영 및 편집 (Premiere, Camtasia 등 사용)
- 콘텐츠 인터랙션 요소 삽입 (퀴즈, 드래그 앤 드롭 등)
- 콘텐츠 LMS 탑재 및 오류 확인
- 썸네일, 학습노트, 요약자료 디자인
실제 사용자가 경험하는 모든 화면이 이 팀의 손을 거칩니다.
오늘의 인사이트: 모든 직무는 연결되어 있다
직무별로 역할은 다르지만, 결국 ‘좋은 교육 경험’을 만들기 위한 목적은 같습니다. 운영자가 학습 데이터를 분석하면, 교수설계자가 그에 맞게 콘텐츠를 개선하고, 제작자는 이를 시각화합니다. 이 구조를 머릿속에 넣어두면 어떤 포지션으로 가더라도 협업의 감을 잡기 쉬워집니다.
마무리하며 – 나는 어떤 역할에 적합할까?
오늘 배운 내용을 정리하면서, 내가 앞으로 어떤 역할에 더 흥미와 강점을 느끼는지 생각해보게 됐습니다. 시스템을 꼼꼼하게 관리하는 걸 좋아한다면 운영, 콘텐츠의 흐름과 스토리에 관심이 많다면 교수설계, 크리에이티브한 작업에 흥미가 있다면 콘텐츠 제작이 적합할 수도 있습니다.